브라우저 작동
Last updated
Was this helpful?
Last updated
Was this helpful?
사용자 인터페이스 - 주소 표시줄, 이전/다음 버튼, 북마크 메뉴 등. 요청한 페이지를 보여주는 창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분이다.
브라우저 엔진 -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렌더링 엔진 사이의 동작을 제어.
렌더링 엔진 - 요청한 콘텐츠를 표시. 예를 들어 HTML을 요청하면 HTML과 CSS를 파싱하여 화면에 표시함.
통신 - HTTP 요청과 같은 네트워크 호출에 사용됨. 이것은 플랫폼 독립적인 인터페이스이고 각 플랫폼 하부에서 실행됨.
UI 백엔드 - 콤보 박스와 창 같은 기본적인 장치를 그림. 플랫폼에서 명시하지 않은 일반적인 인터페이스로서, OS 사용자 인터페이스 체계를 사용.
자바스크립트 해석기 -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해석하고 실행.
자료 저장소 - 이 부분은 자료를 저장하는 계층이다. 쿠키를 저장하는 것과 같이 모든 종류의 자원을 하드 디스크에 저장할 필요가 있다. HTML5 명세에는 브라우저가 지원하는 ''가 정의되어 있다.
이 글에서 다루는 브라우저인 파이어폭스와 크롬, 사파리는 두 종류의 렌더링 엔진으로 제작되었다. 파이어폭스는 모질라에서 직접 만든 게코(Gecko) 엔진을 사용하고 사파리와 크롬은 웹킷(Webkit) 엔진을 사용한다.
HTML 문서를 파싱
> 브라우저 화면에 랜더링하기위해 다루기 쉬운 구조로 바꿈
> css파일 파싱
> 렌더트리 구축
> 렌더트리 배치
> 렌더트리 그리기
스타일 정보와 HTML 표시 규칙은 렌더 트리라고 부르는 또 다른 트리를 생성함.
화면에 표시하기위한 위치, 크기, 그리기 순서 저장을 위한 별도의 트리 구조(렌더트리)가 필요함.
렌더링 엔진은 좀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위해 가능하면 빠르게 내용을 표시하는데 모든 HTML을 파싱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배치와 그리기 과정을 시작한다. 네트워크로부터 나머지 내용이 전송되기를 기다리는 동시에 받은 내용의 일부를 먼저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다.